최근 ESG, 지속가능경영 등 기업의 사회적 영향과 관련된 단어를 기업 뉴스에서 굉장히 자주 접했는데 ESG가 도대체 무슨 뜻일까요?
E(Environment, 환경) S(Social, 사회) G(Governance, 지배 구조)
E(Environment, 환경) 기후변화, 탄소배출에 대한 강력한 원칙을 지키고, 대기 및 수질오염의 위험성을 낮추는 생물의 다양성을 보존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며,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조치에 적극적이며 폐기물 관리가 투명한 기업들이 해당합니다.
S(Social, 사회) 데이터와 프라이버시 보호 중시하고, 고객만족도가 높으며 기업 내 성별 및 다양성 확보와 지역사회와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인권과 노동기준을 준수하는 기업들이 포함됩니다.
G(Governance, 지배 구조) 투명한 이사회와 감사위원회를 구성하고, 꾸준히 부패관리를 실시 정치자금, 로비활동에 예민하며 적절한 내부고발자 제도를 갖춘 기업들이 해당합니다. |
위의 요소들은 기업의 비재무적인 요소로 (E)환경을 소중히 하고 (S)사회적인 책임의식을 가지고 환원 또는 윤리적인 경영을 하며 (G)기업운영에 있어서 투명하고 효율적으로 움직이는지를 평가합니다.
이전까지는 비용절감, 효율성, 스피트 등의 단어들이 키워드였지만
앞으로의 기업들은 환경, 사회에 미치는 영향 등이 키워드가 될것입니다.
유럽연합이나 미국에서는 이미 기업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도 확산되어 가는 추세라네요~
그러면 왜 갑자기 ESG가 경영 트렌드로 떠올랐을까요?
사실 ESG는 오래전에 나온 개념이구요.... 2004년 코피 아난 전 UN 사무총장이 금융 회사에 지속 가능한 투자 가이드 개발에 동참할 것을 요구한 것이 ESG 개념의 시작입니다.
여기에 코로나19가 ESG의 중요성을 더욱 확산시켰죠~
코로나로 자연의 무시무시한 경고를 받은 인간,
그 덕분에 기후변화와 같은 환경적 요소에 대한 관심이 증폭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경기 침체가 기업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관심을 일깨웠고, 특히 환경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었습니다.
지구온난화, 대형 산불 등 전 지구적 재앙이 잇따르면서 환경을 보호하고, 사회적 안전망을 더욱 튼튼히 만들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었습니다.
"기업이 더 이상 주주 이익 극대호에 집중해서는 안되고
소비자와 직원, 납품업체 등 사회 구성원 전체를 고려해야 한다"
-비지니스 라운드테이블(BRT) 기업의 목적 발표-
여기에 친환경정책을 내세운 조바이든의 당선, 관련 산업이 급부상한 것도 ESG의 열기를 부추기고 있는 것입니다.
국내에서도 ESG 대응 속도가 빨라지고 있습니다.
금융위원회는 2025년부터 일정 규모 이상 코스피 상장사에 대해, 2030년부터 모든 상장사에 대해 ESG정보 공시를 의무하하기로 하였습니다.
기업들도 이에 발맞춰 다양한 방법으로 친환경 행보를 펼칠 것으로 보이며, SK그룹을 비롯해 현대자동차, 포스코, KB금융, 네이버, 카카오 등 적극적인 ESG경영에 반영하겠다고 밝히고 관련 조직을 가동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ESG가 '권고'가 아닌 '의무'로 무게 중심이 옮겨가고 있으며
올해는 ESG가 경영의 핵심축이 되기 시작하는 원년이 될것으로 보여집니다.
관련 기사 살펴 볼까요?
<관련기사>
news.joins.com/article/23971953
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1011302109932033008&ref=naver
'- IT TRE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DT (0) | 2021.07.02 |
---|---|
#메타버스 '대세는 메타버스!' (0) | 2021.04.09 |
하늘을 나는 트랜스포머 자동차 '에어카(Air Car)' (0) | 2020.11.02 |
'1개월 무료 체험하시겠습니까?', 다크 넛지!! (0) | 2020.08.07 |
레그테크? 섭테크? (0) | 2020.06.25 |